인모드 주가 전망 (INMD 분석)

ETF로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을 누리는 것도 좋지만, 개별 종목을 발굴하는 것은 더 큰 만족감을 줍니다. 지금까지는 ETF 관련 포스팅을 주로 올렸지만 개별 기업 분석에 대해서도 포스팅할 예정입니다. 특정 산업군을 고려하고 있지는 않지만 아마도 중소형주 위주로 포스팅하게 될 것 같습니다. 첫 번째 분석 종목은 글로벌 에스테틱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인모드(InMode Ltd.)입니다. 인모드의 펀더멘탈을 먼저 분석하고, 인모드 주가 의 전망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본 포스팅은 종목 추천을 위한 목적이 아니며,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인모드 기업 개요

인모드(InMode Ltd.)는 2008년 이스라엘에서 설립된 글로벌 에스테틱 기업입니다. 얼굴 및 신체 윤곽, 의료 미학, 여성 건강 등의 분야에서 최소 침습(minimal invasive)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인모드의 최소 침습 솔루션은 무선 주파수(RF) 에너지 기술을 활용하여 피하 지방 깊숙이 침투, 지방 조직을 리모델링할 수 있는 제품입니다. 인모드는 자사의 최소 침습 솔루션 강점을 아래와 같이 서술합니다.

  • 절개를 최소화하여 흉터, 통증, 출혈 등과 같은 외과적 위험을 축소
  • 차별화된 RF 에너지 기반 기술로 지방을 없애고 피부를 조여 기존 최소 및 비침습 미용 절차의 단점 극복
  • 제품 사용법에 대한 교육이 간단하여 시중의 다른 미용 솔루션 대비 저렴함

인모드는 현재까지 10가지 제품 플랫폼을 출시했으며, 핸즈프리 장비와 함께 판매하고 있습니다. 주요 고객은 성형 외과 의사, 미용 외과 의사, 피부과 의사 및 산부인과입니다. 현재 인모드는 북미,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등 다양한 지역에서 사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2019년 8월 미국 나스닥에 상장되었으며, 티커명은 INMD입니다.

성장성 분석

인모드는 고성장주입니다. 현재까지 매출 및 이익의 높은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최근 2년 동안은 코로나로 인한 부정적인 환경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매출 증가율을 보여주며, 글로벌 에스테틱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또한 인모드는 자사의 기술력을 활용하여 에스테틱 시장 뿐 아니라 더 넓은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데요. 2021년에 새롭게 출시한 여성 건강 솔루션인 EmpowerRF와 임상 시험 중인 안구건조증 솔루션, 코골이 및 비염 솔루션 등을 통해 꾸준히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인모드 주가 전망 : 매출 및 당기순이익
인모드 매출(파란색) 및 당기순이익(노란색) 추이 (출처 : stockrow)
구분20172018201920202021
매출 증가율(%)131.687.456.131.873.5
EPS 증가율(%)-161.5135.311.3115.7
*전년도 대비 증가율

인모드의 수익은 플랫폼 및 핸즈프리 장비의 판매와 소모품 판매가 주를 이룹니다. 현재까지는 하드웨어 판매가 매출의 89%를 이루는 주요 수익처이며, 소모품 판매는 11% 정도로 비중이 작습니다. 하지만 소모품 판매도 지난 4년 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앞으로 브랜드의 인지도가 높아질 수록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수익성 분석

다음으로 인모드의 수익성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2021년 기준 인모드의 매출총이익률(Gross Profit Margin)은 85.0%이며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인모드는 자체 제조 시설을 운영하고 있지 않고, 대부분의 제품 제조를 제 3자에 위탁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자본적지출(Capex)이 적고 잉여현금흐름이 좋습니다.

영업이익률(Operating Profit Margin)도 46.8%로 매우 높은 수준이며, 영업 비용의 대부분은 영업 및 마케팅 비용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인모드는 직접 판매인력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편으로, 이에 따른 고정비용은 앞으로도 지속 발생할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5년 동안의 자기자본이익률(ROE)도 고속성장주 답게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곧 언급하겠지만 인모드는 부채비율도 낮은 편입니다. 그에 반해 높은 ROE를 지속 유지하는 것으로 보아 경제적 해자를 구축하고 있다는 것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구분20172018201920202021
매출총이익률(%)83.185.087.185.085.0
영업이익률(%)16.723.538.135.346.8
ROE(%)62.271.355.834.949.3
잉여현금흐름/매출액(%)27.036.439.338.248.6

재무건전성 분석

인모드는 재무적 측면에서도 건전함을 보여줍니다. 2021년 기준 부채비율(부채/자본)은 0.15 정도로 부채 부담이 적습니다. 유동비율(current ratio, 유동자산/유동부채)도 9.1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유동성도 뛰어납니다. 인모드는 2008년 설립 이후 현재까지 우선주나 부채 증권을 발행한 이력이 없으며, 은행으로부터 자금 조달을 받지도 않았습니다. 앞으로 있을 금리 상승에도 비교적 영향을 적게 받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매출채권이나 재고자산의 비중도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재무적으로 탄탄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리스크

이렇게 견고한 펀더멘탈을 보여주지만 리스크도 물론 존재합니다. 투자에 앞서 주의 깊게 지켜볼 필요가 있는 사항들을 정리해봤습니다.

유통주식수 증가

첫 번째는 유통 주식 수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아래 표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인모드의 주식 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습니다. 스톡 옵션이 조금 과하지 않나 싶은 생각입니다. 주식 수가 증가하면 그만큼 주주의 지분이 희석된다는 것이니 앞으로의 추이는 주의 깊게 지켜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다행히 2020년 9월 첫 자사주 매입을 시작으로 2021년에도 5천 3백만 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실행했습니다. 자사주 매입은 앞으로도 지속할 계획이라고 하니 조금은 안심이 됩니다. 어쨌든 계속 지켜봐야 할 부분입니다.

구분20172018201920202021
희석주식수(단위 : 천)65,45065,45076,12084,18086,017
증가율(전년대비)-0.0%16.3%10.6%2.2%

적은 R&D 비용

두 번째는 적은 R&D 비용입니다. 아래는 인모드의 공통형 손익계산서입니다. 공통형 손익계산서란 매출액을 기준으로 하여 손익계산서의 각 항목을 구성비로 나타낸 것입니다. 2021년 R&D 비용은 매출액 대비 2.7% 수준으로 해마다 그 비중이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물론 아직까지는 매출액이나 인지도 측면에서 급성장하고 있지만, 에스테틱 시장은 경쟁이 치열합니다. 언제든 경쟁업체가 치고 올라올 수 있는 환경이죠. 경쟁력 유지를 위해 좀 더 R&D에 투자해야 하지 않나 싶은 생각이 듭니다.

구분20172018201920202021
매출100100100100100
매출원가16.915.012.915.015.0
매출총이익83.185.087.185.085.0
판관비53.344.542.842.033.4
R&D4.84.23.64.62.7
영업이익16.723.538.135.346.8
인모드 공통형손익계산서

쌓여가는 현금 보유량

마지막은 사실 리스크라고 하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오히려 장점이죠. 앞서 언급했듯이 인모드는 GPM, OPM 모두 우수하고 현금흐름도 좋습니다. 문제는 쌓여가는 현금을 어디에 쓰느냐 인데요. 성장을 위해 투자하거나 배당을 주거나 또는 자사주 매입을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기업이 현금을 낭비하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다음은 피터 린치의 ‘월가의 영웅’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중략) 회사들이 과거에 어리석은 사업다악화에 매달려 잇달아 돈을 날렸다고 강하게 주장한다. 나는 이런 일을 수없이 보았으므로 펜조일의 휴 리드케가 제시한 기업금융의 방광이론을 믿는다. 즉 기업에 자금이 쌓이면 쌓일수록 방광에 압력이 높아져서 오줌을 누듯이 아무 곳에나 돈을 써버린다는 이론이다.”

다행히 2021년 4분기 어닝콜(Earnings Call)에서 궁금증을 어느 정도는 해소할 수 있었습니다. 현재 인모드는 4억 달러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자사주 매입도 계속해서 진행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M&A 후보 업체도 물색하고는 있지만, 아직까지는 후보를 찾지 못했다고 하네요. (인수합병 시 자사 제품 포트폴리오, 기술, 마케팅, 영업 네트워크 등과 시너지를 낼 수 있을 만한 기업이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현재 15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해마다 2개 프로젝트를 출시할 예정으로 성장을 위한 투자에 집중할 것임을 밝혔습니다.

인모드 주가 전망

마지막으로 인모드 주가 전망을 살펴보겠습니다. 2월 23일 기준 인모드 주가 는 39.99달러로 지난해 11월 전 고점 대비 약 -60%로 크게 하락했습니다. 아래는 상장 이후 현재까지의 인모드 PER 추이 그래프입니다.

인모드 주가 : PER 추이
인모드 PER 추이 (출처 : stockrow)

2020년 초부터 지난해 말까지 PER이 급격히 오르다가 급락하는 모양새입니다. 금리 인상과 러시아-우크라이나 간 전쟁 등 불안정한 정세 등을 고려했을 때 앞으로 추가 하락이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그동안 주가 고평가 부담도 있었던 것도 주가 하락의 원인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인모드의 펀더멘탈은 탄탄합니다. 현재 주가는 매력적인 구간으로 내려왔고, 장기적 관점으로 볼 때 좋은 수익률을 얻을 수 있을 만한 기업으로 보입니다. 이상으로 인모드 주가 전망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Leave a Comment